BlockChain/클레이튼 (3) 썸네일형 리스트형 Klaytn 클레이튼 스마트계약과 탈중앙앱 - 솔리디티와 Klaytn SDK 스마트 컨트랙트 , 솔리디티 (Solidity) 스마트 컨트랙트라는 것은 블록체인에 저장되어있는 프로그램이다. 어디에 저장되어있는지 알기위해 주소를 쓴다. 주소를 쓰는것이 어카운트이다보니 어카운트와 같이 취급을 하게된다. 이더리움 코드를 까보면 어카운트라는 값이있고, 어카운트 안에 코드해쉬라는 값이 있다. 이는 어떤 코드를 해쉬했더니 나온 값인데, 이것을 가지고 블록체인에 저장되어있는 코드를 불러올 수 있는 구조이다. 스마트 컨트랙트는 상태를 가지고, 이러한 상태를 변경할 수 있는것은 TX 밖에 없다. 그러다보니 TX 로 컨트랙트를 실행하고, TX 의 결과가 컨트랙트에 반영된다. 스마트 컨트랙트는 함수와 상태로 되어있고, 함수를 쪼개보았더니 상태를 변경하는 함수 와 상태를 변경하지 않는 함수 두개로 나뉜.. Klaytn 클레이튼 스마트계약과 탈중앙앱 - 블록체인 상태와 트랜젝션 이 글은 `인프런 - Klaytn 클레이튼 스마트계약과 탈중앙앱` 강의를 보고 개인적으로 정리한 글입니다. 블록체인의 상태 (어카운트 기반) 블록체인의 상태를 예로 들어보자. 블록체인은 트랜젝션으로 변화하는 상태기계라 할 수 있다. 상태기계의 경우 항상 초기값(i)이 있고 그리고 최종값(f) 을 가진다. 초기값 (i) + change = 최종값 (f) 라고 보면 편할 것이다. 블록 0 번을 보면 최초값 i 는 none 으로 시작한다. 그리고 change 를 기록하게되는데, 엘리스에게 토큰 100개를 주었다고 기록한 뒤 최종값 f 에 엘리스에게 100 개의 토큰이 있다고 기록한다. 블록 1 번을 보면 블록 0 번의 최종값을 초기값 i 로 가지고 있는것을 볼 수 있다. 즉, 블록 1번에 초기값에는 엘리스가 .. Klaytn 클레이튼 스마트계약과 탈중앙앱 - 블록체인 기본 이 글은 `인프런 - Klaytn 클레이튼 스마트계약과 탈중앙앱` 강의를 보고 개인적으로 정리한 글입니다. 블록체인의 정의와 구성, 해시함수 블록체인이란? 정보를 블록이라고 하는 단위로 저장하여 저장된 블록들을 체인형태로 묶은 저장기술. 자료구조 링크드 리스트(Linked-List) 와 비슷하지만, 블록체인의 경우 연결된 데이터를 해시함수(Hash Function) 로 기억하고있다. -- 해시 함수(Hash-Function) 임의의 길이의 데이터를 고정된 길이의 데이터로 매핑(변환)하는 함수 { 해시 , 해시 값 , 해시 코드 } = 해시 함수에 의해 얻어지는 값 데이터를 X , 해시함수를 H 라고 표기할 때 해시를 H(X) 로 표기 산업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해시 함수는 SHA-2 (e.g. , SHA..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