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Ops (7) 썸네일형 리스트형 kubernetes 개념 쿠버네티스란? 쿠버네티스는 컨테이너화된 워크로드와 서비스를 관리하기 위한 이식성이 있고, 확장가능한 오픈소스 플랫폼이다. 컨테이너화 되었다구? 전통적인 방식의 배포는 한 물리서버내에 여러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하는 방식이었다. 이는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이 많은 리소스를 차지하면 다른 애플리케이션에 성능저하를 불러오는 등 리소스 할당에 문제가 있었다. 이에대한 해결책으로 여러 물리서버에 각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하였는데 이는 각각의 물리서버의 리소스를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는 작은 애플리케이션이라면 자원 및 비용의 낭비를 불러일으키는 문제가 있어, 확장가능하다고 보기 어렵다. 가상화를 사용한 배포는 단일 물리 서버의 CPU에서 여러 가상 시스템 (VM)을 실행할 수 있다. 가상화를 사용하면 VM간에 애플리케이션을 격.. Docker container 를 활용해 CI/CD 실습해보자 feat(Jenkin, Ansible, Minikube) DevOps 또한 자동화를 한다거나 코드로 관리할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이러한 수요로인해 요즘 각광받고 있는것이 바로 IaC(Infrastructure as Code) 이다. 대표적으로 'ansible' 과 'terraform' 이 있는데, terraform' 의 경우 필요한 라이브러리나 서비스를 설치하는 단계인 프로비저닝에서 많이 사용하고, 자동화를 'ansible' 로 구성하는 두 가지 IoC 툴을 혼용하는 추세이다. 참고 기사 인프라 관리 자동화, ‘IaC’로 구현한다 이번 실습에서는 docker , jenkins , ansible , kubernetes(minikube활용) 을 사용해 어떤식으로 배포를 할 수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자. Docker 를 활용하면 virtualBox 를 활용한 것.. Kubernetes 구조 이해하기 참고 사이트 : kubernetes 사이트 따라하면서 배우는 쿠버네티스 참고 블로그 : 쿠버네티스 고가용성 클러스터 구성 참고 블로그 : 따배쿠 멀티마스터 ... 정리 참고 블로그 : 쿠버네티스 개념과 구성 컴포넌트 알아보기 쿠버네티스를 배포하면 클러스터를 얻는다. Kubernetes Cluster 는 크게 Control Plane 과 Node 로 분류할 수 있다. - Control Plane 은 클러스터 내부 요소들을 제어한다. 애플리케이션을 스케줄링하거나, 애플리케이션의 항상성을 유지하거나, 애플리케이션을 스케일링하고, 새로운 변경사항을 순서대로 반영(rolling out)하는 일과 같은 클러스터 내 모든 활동을 조율한다. 이러한 Control Plane 은 하나 이상의 Master Node 에 복제.. 최신 (k8s - 2022.07 기준) kubernetes 설치 최신 (k8s - 2022.07 기준) kubernetes 설치 본 게시글은 2022-07-31 일 기준으로 필자가 직접 설치해본 결과를 기록했습니다. 2020.12 월 kubernetes 는 docker 를 deprecated 한다는 글을 공지했다. kubernetes의 default container runtime 이었던 docker 가 v1.20 부터 deprecated 되고, 2021년도 하반기에 출시되는 v1.23 부터는 docker를 container runtime 으로 활용할 수 없음. 관련 글 : https://ikcoo.tistory.com/189 즉, 왜? Docker 가. Kubernetes 의 Container Runtime Interface 인 CRI 를 구현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Terraform 을 사용해 AWS EC2 Instance 를 올려보자 참고 기사1 참고 기사2 참고 영상 참고 도서 AWS를 통한 효과적인 데브옵스 구축 2/e 테라폼, 앤서블, 깃허브, AWS 코드 파이프라인 등을 활용한 데브옵스 구축을 위한 지침서다. www.acornpub.co.kr 요즘 백엔드 개발자에게 요구되어지는 역량은 무엇일까? 라고 했을때 단순 비즈니스에 대한 서버 개발만을 요구한다고 말하기는 힘든 부분이있다. 인프라 구축 또한 요구되어지고 있는것이 현 개발업계의 상황인듯 싶다. DevOps 와 Backend 관의 관계가 분명 나뉘어져 있는 회사라도 DevOps 가 어떻게 구축되어있고, 어느정도는 다룰줄 알아야 효과적인 개발 및 운영을 할 수 있다고 생각되어진다. 이러한 업계의 요구사항에 맞춰 요즘 인기를 끌고 있는것이 바로 IaC(Infrastructure.. AWS를 통한 효과적인 데브옵스 구축 2/e 2장 중 AWS CLI 로 EC2 구성하기 aws 참고 AWS를 통한 효과적인 데브옵스 구축 2/e 계정 보안 MFA 및 IAM 사용해보자 aws 참고 - MFA aws 참고 - IAM 블로그 참고 더보기 MFA(Multi-factor authentication) 보안 강화를 위해 멀티 팩터 인증(MFA)을 구성하여 AWS 리소스를 보호하는 것이 좋다. MFA 로그인 후 - 보안자격증명 들어가기 MFA 활성화 핸드폰에 GoogleAuthenticator(Google OTP) 설치 QR 코드 스캔으로 연동하기 연속으로 나타나는 MFA 6자리 비밀번호 2개를 입력해서 마무리 이제 로그인마다 MFA 인증코드를 입력해야함 IAM(Identity and Access Management) AWS 리소스에 대한 액세스를 안전하게 제어할 수 있는 웹 서비스로 .. IaaS , PaaS , SaaS 참고 블로그1 참고 사이트1 참고 사이트2 참고 사이트3 IaaS (Infrastructure as a Service) , 서비스형 인프라 IT 인프라(서버, 스토리지) 등의 하드웨어를 서비스로 제공 IaaS는 PaaS(Platform-as-a-Service) 및 SaaS(Software-as-a-Service)와 함께 3대 클라우드 서비스 모델 중 하나이며, 사용자가 오버헤드 없이 온프레미스 컴퓨팅 리소스의 모든 이점을 누릴 수 있다. 운영에 필요한 스토리지, 네트워킹 및 컴퓨팅 리소스를 제공한다. 가상 호스팅(VM Hosting)과 비슷하다 할 수 있다. IaaS는 기업이 준비해놓은 환경에서 우리가 선택할 수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고객은 가상 서버 하위의 레벨에 대해서는 고려할 필요가 없다는 .. 이전 1 다음